연혁(역사)

백령사 붓다룸

대한불교조계종 백령사는

  • 경기도 용인시 포곡면 석성산 동북쪽 기슭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1910년대에 새로 중창한 석성산의 고찰 백령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4교구 본사 범어사의 말사로 호국 지장도량입니다.


    이곳은 475년경 고구려 장수왕 때 처음으로 축성된 석성산성(石城山城)의 초개군영(初開軍營) 터로 알려진 명당입니다. 고려 때 김윤후 승장(僧將)이 몽고 침략을 물리친 처인성과 연계한 옛 성(古城)으로, 한양도성을 잇는 제2 코스의 봉화대가 설치된 석성산성의 대문이던 동문(東門) 앞에 자리하였습니다.
    조선의 명재상 서예 유성룡은 1592년 임진왜란을 미리 예견하고, “석성산성을 보수하여 외적에 대비코자 하였습니다.” 1769년 《비변사등록》의 기록한 것처럼 “석성산 기슭에는 근심이 없다.(石城山 無慮相准)”라고 할 만큼 국가와 백성의 안녕을 기원해온 호국 성지입니다.
    오늘날에는 용인시가 2008년 지정한 용인 팔경(八景)의 제1경 성산일출의 명소가 백령사의 진산 봉우리입니다. 석성산은 매년 시산제가 열리는 등 용인의 진산으로 시민들이 사랑하고 즐겨 찾는 명산입니다.
    이곳에 자리한 백령사는 2007년 7월 국가지정문화재 보물 제1518호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을 비롯하여 2017년 6월에 지정된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12호 『지장보살본원경』과 제313호 『묘법연화경』을 소장한 진리의 도량입니다. 특히 2012년 11월 충북 단양 방곡사에서 부처님의 진신사리 16과(顆)를 이운, 봉안하여 적멸보궁의 위상을 갖추었습니다.
    경기도 용인의 삼보사찰 백령사는 우리나라 삼한(三韓)시대로부터 고려와 조선, 근대에 이르기까지 용인의 정통 맥(脈)을 잇고 있는 역사문화 공간, 전통적 치유의 산사(山寺)로 자리하고 있습니다.




[17016]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백령로204-1 Tel. TEL : 031-322-3302FAX : 031-323-3304
Copyright (C) 2021 붓다 buddha room All Rights Reserved.
관련사이트